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의 충돌?…필연 아닌 ‘확률 50%’로 수정된 미래

by PM1159 2025. 6. 4.
반응형

 

 

오랫동안 천문학자들은 **우리은하(Milky Way)**와 **안드로메다은하(Andromeda Galaxy)**가 약 40~50억 년 후에 충돌하여 거대한 타원형 은하를 형성할 것이라고 예측해왔습니다.
그러나 최근 국제 연구팀이 새롭게 발표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, 두 은하의 충돌이 반드시 일어난다고 단정하긴 어렵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. 충돌할 확률은 이제 약 50%, 즉 동전 던지기 수준으로 낮아졌습니다.


🌌 기존 예상: ‘밀코메다’ 형성

기존 연구에서는 두 은하가 중력의 영향으로 점점 가까워져 결국 하나의 거대 은하, 즉 **‘밀코메다(Milkomeda)’**라는 이름의 타원형 은하로 병합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.
지금도 안드로메다은하는 매초 약 110km의 속도로 우리은하를 향해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, 충돌은 필연적인 미래처럼 보였습니다.

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그 궤도가 단순히 충돌을 향하는 직선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됐습니다.


🔭 새로운 시뮬레이션, 결과가 바뀌다

핀란드 헬싱키대학의 틸 사왈라(Til Sawala) 박사 연구팀은 NASA의 허블 우주망원경 자료와 유럽우주국(ESA)의 가이아(Gaia) 위성 데이터를 활용해 두 은하의 이동 경로를 정밀 분석했습니다.

이번 시뮬레이션은 지금까지 간과되었던 요소, 특히 대마젤란은하(LMC)의 중력 영향까지 반영해 미래 궤적을 예측했으며, 그 결과 두 은하가 직접 충돌하지 않고 스쳐 지나갈 가능성도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.

즉, 안드로메다은하가 우리은하의 외곽을 지나쳐 회전 궤도에 들어설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.


🔁 충돌하지 않는다면, 어떤 변화가?

은하 충돌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양 은하는 서로의 중력에 영향을 주며 궤도를 바꿀 수 있습니다. 이 과정에서 일부 항성이나 성간가스가 은하 밖으로 튕겨나가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으며, 중심부 블랙홀의 활동 변화도 예상됩니다.

단, 이 모든 변화는 수십억 년에 걸쳐 천천히 일어나므로 지구에 거주하는 인류가 직접 겪을 가능성은 없습니다.


🛰️ 더 가까운 ‘위협’은 대마젤란은하?

흥미롭게도 연구팀은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의 충돌보다 **우리은하와 대마젤란은하(LMC)**의 병합이 더 가까운 시기에 발생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.
예측에 따르면 약 20억 년 후 대마젤란은하가 우리은하에 흡수될 가능성이 있으며, 이 과정에서 중심 블랙홀의 질량 증가성간가스의 폭발적 유입이 일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.


✅ 요약 정리

  • 📌 기존 예상: 50억 년 후 우리은하-안드로메다 충돌
  • 🔍 최신 연구: 충돌 확률 약 50%, 스쳐 지나갈 가능성 존재
  • 🛰️ 새로운 변수: 대마젤란은하 중력 영향 포함
  • 🌠 충돌 시 결과: 밀코메다 형성, 별 생성 증가, 블랙홀 활동 변화
  • 🌌 실제 변화는 수십억 년 뒤…지구 인류와는 무관

✍️ 마무리

이번 연구는 우주의 미래가 단순 계산으로 정해지지 않는다는 점을 잘 보여줍니다.
천문학은 ‘확실한 예측’보다는 ‘가능성의 범위’를 탐색하는 과학입니다.

우리는 지금 하늘을 올려다보며 아주 먼 미래를 상상하지만,
그 미래는 새로운 데이터가 나올 때마다 다시 쓰이고 있습니다.

반응형